- BOM : Browser Object Model
: 자바스크립트와 브라우저가 소통하기 위한 수단
- window : 최상위 브라우저 객체 = 브라우저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
window prefix 는 생략가능!
※ 브라우저란? 인터넷상에서 웹에 연결시켜 주는 윈도 기반의 소프트웨어
- open / close()
open('URL','target',spec)
var 변수 = window.open('www.naver.com','_blank','width=200,height=200');
변수.close();
위에서 window prefix 생략가능하다는 의미가 위의 예에서 보면
var 변수 = open(~샬라샬라~) 처럼 가능하다는 의미.
위와 같은 사용방식으로
- window.alert('text') : 텍스트 알림창
- window.confirm('text') :
var 변수 = window.confirm('text') 를 하면, 변수 값에 OK(True값) Cancel(False값)이 담긴다.
- window.prompt('text') :
True 값 혹은 False 값만이 아니라,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전체가 변수에 입력되고, 아무것도 입력치 않으면 NULL값이 입력된다.
- window.setTimeout(function,milliseconds) :
milliseconds 이후에 function 실행
<종료>window.clearTimeout(변수) 예약된 실행문 종료
- window.setInterval(function,milliseconds) :
milliseconds 마다 function 실행
<종료>window.clearInterval(변수) 예약된 실행문 종료
- DOM : Document Object Model
HTML 문서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구조. 이 구조의 형태는 트리구조이다.
각 트리의 노드는 HTML태그요소이다. 이 노드는 속성과 속성값을 가진다.
※ 속성 :
속성값 :
(포스팅 예정)